생각해보면 내가 대학을 다니던 15~20년 전, 그러니까 200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쯤에는 일본 드라마나 미드를 즐겨보는 친구들이 꽤 있었다. 나는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드라마를 자주 보는 편은 아니다. 요즘은 넷플릭스 덕분에 콘텐츠가 워낙 다양하고 잘 되어 있기도 하지만, 여전히 자주 보진 않는다.
사실 한국 드라마도 그리 자주 챙겨보지 않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일본 드라마 특유의 분위기나 연출 방식이 조금 낯설게 느껴질 때가 있다. 일본 만화는 즐겨 봤지만, 이상하게 애니메이션은 손이 잘 가지 않았다.
그러던 중 우연히 일본 드라마 《JIN-仁-》을 보기로 했다. 마침 에도 시대를 공부할 일이 있었고, 시대극이라는 점에서 흥미가 생겼다. 그 시대 특유의 분위기 속에서 일본어 말투나 억양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을 것 같기도 했다.
일본 드라마 《JIN-仁-》, 제목 ‘진(仁)’은 무슨 뜻일까?
《JIN-仁-》은 일본 TBS에서 방영된 의학 시대극 드라마로,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줄거리는 현대의 외과의사가 에도 시대, 그러니까 19세기 중반으로 타임슬립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제목 ‘진(仁)’은 한자로 '어질 인'이라는 뜻이다. 유교에서 말하는 ‘仁’은 인간다움, 자비,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 등을 뜻하는 중요한 도덕 개념이다. 이 드라마에서 ‘仁’은 단순히 주인공의 이름일 뿐 아니라, 그가 지닌 철학과 삶의 태도를 상징한다.
주인공의 이름은 미나카타 진(南方 仁)이다. 성은 미나카타, 이름이 진. 우리말로 하면 ‘남방진’쯤 되는데, 예전 해적판 자막이었다면 ‘남방진’으로 번역되었을지도 모른다(농담이지만 어쩐지 그랬을 것 같다).
이렇게 보면 《JIN-仁-》이라는 제목은 단순한 인명을 넘어서, 주인공이 펼치는 의술과 그가 지향하는 인간적인 가치, 즉 '어짐'을 담고 있는 이중적인 의미를 가진다.
일본 이름 읽기, 미나카타 진(南方 仁)을 통해 배우는 훈독과 음독
일본 드라마 《JIN -仁-》을 보다 보면 주인공 이름이 미나카타 진(南方 仁)인데, 이 한자를 어떻게 읽는지 궁금하다. 일본어에는 ‘훈독(訓読み)’ ‘음독(音読み)’이라는 개념이 있어서 한자 읽기가 한층 더 복잡하게 느껴진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미나카타 진’은 왜 그렇게 읽히는 걸까?*를 파헤쳐보며 훈독과 음독을 함께 정리해본다.
🧩 훈독과 음독이란?
구분 | 설명 | 예시 |
훈독(訓読み) | 일본 고유어에 맞춰 한자를 읽는 방식 | 山 → やま (yama, 산) |
음독(音読み) | 중국 한자음을 차용해 읽는 방식 | 山 → さん (san, 산: 예. 山岳会 さんがくかい = 산악회) |
보통 일본인의 성(姓)은 훈독으로, 학술 용어나 전문어는 음독으로 읽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름은 예외도 많고, 고유한 읽는 방식도 있어서 그때그때 외우는 게 현실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 그렇다면 ‘미나카타 진(南方 仁)’은?
드라마 《JIN -仁-》의 주인공 이름을 예로 들어보자.
■ 성: 南方 (みなかた / 미나카타)
- 南 (みなみ / 미나미) → ‘남쪽’ (훈독)
- 方 (かた / 카타) → ‘방향’ 또는 사람을 높여 부르는 표현 (훈독)
👉 둘 다 훈독으로 읽어서, 합쳐서 みなかた (미나카타)가 됩니다. 일본의 성씨는 이런 식으로 훈독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미나카타 진(南方 仁)’에서 ‘南’을 왜 ‘미나미(みなみ)’가 아니라 ‘미나(みな)’로 읽는지 궁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南’은 훈독으로 ‘みなみ(미나미)’라고 읽지만, 성씨에서는 반드시 일반 단어와 같은 방식으로 읽히지 않는다. 일본어 성씨는 고유한 발음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고, ‘南方(南 + 方)’이라는 성씨는 전통적으로 ‘みなかた(미나카타)’로 읽는다. 여기서 ‘みな’는 ‘みなみ’의 줄임말이라기보다는, 성씨에서 관습적으로 쓰이는 고유한 읽기 방식이다. 따라서 성(姓)의 발음은 단어의 규칙보다 관습과 전통에 따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기억하면 좋다.
‘미나카타(南方)’는 일본에 실제로 존재하는 성씨로, 와카야마현 다나베시 일대의 지명을 바탕으로 생겨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南(みな, 남쪽)’과 ‘方(かた, 방향)’이 결합된 말로, ‘남쪽 지역의 사람’ 혹은 ‘남방 출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전국적으로 흔한 성은 아니지만, 식물학자이자 민속학자인 미나카타 구마가스(南方熊楠)의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주로 지역 사족이나 하급 무사 계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지리적 기반을 바탕으로 형성된 비교적 드문 성씨이다.
■ 이름: 仁 (じん / 진)
- ‘仁’은 유교의 핵심 덕목인 ‘어질 인’을 뜻한다.
- 이 한자는 중국식 발음에서 유래한 음독(じん)으로 읽습니다.
- 일본에서도 철학·의학·인문학적 문맥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라 음독으로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 정리해 보면
한자 | 읽기 | 방식 | 의미 |
南 | みな (mina) | 훈독 | 남쪽 |
方 | かた (kata) | 훈독 | 방향, 사람 |
仁 | じん (jin) | 음독 | 어질 인, 자비 |
🧾 → 남주 이름은 みなかた じん (미나카타 진)
✅ 성(南方)은 훈독, 이름(仁)은 음독 조합이다!
'일본의 문화 | 日本の文化 | にほんのぶんか > 일본 드라마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야세 하루카(綾瀬 はるか), 이름으로 읽는 배우 이야기 – 《JIN-仁-》 속 타치바나 사키 (1) | 2025.05.03 |
---|---|
[일드] 《JIN-仁-》 미나가타 진 伇 오오사와 타카오(大沢たかお) (1)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