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구석기 시대란?
1. 구석기 시대 (旧石器時代, きゅうせっきじだい / 큐우셋키 지다이)
일본의 구석기 시대는 지금으로부터 약 3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 이어진 시기로, 사람들이 타제석기(打製石器, だせいせっき , Dasei sekki, 다이세이 셋키)라 불리는 거칠게 깬 돌도구를 사용하며 생활하던 시기입니다.
아직 농경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수렵(사냥)과 채집 중심의 삶을 살았으며, 소규모 집단으로 이동하며 생활했습니다.
2. 일본은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다!
약 1만 년 전, 큰 지각변동과 함께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일본은 현재처럼 섬나라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구석기 시대 초기에는 유라시아 대륙과 육지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람과 동물들이 걸어서 일본 열도로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이 시기부터 인류는 본격적으로 일본 열도에 정착하며 생활을 시작합니다.
3. 구석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
- 작은 집단을 이루어 이동 생활을 하였습니다.
- 동굴이나 바위 그늘을 주거지로 사용하였습니다.
- 타제석기를 이용해 짐승을 사냥하고, 나무열매를 채집하며 생계를 유지하였습니다.
- 이 시기에는 아직 토기(흙그릇)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시대를 선토기 시대(先土器時代, せんどきじだい / 센도키 지다이) 또는 무토기 시대(無土器時代, むどきじだい / 무도키 지다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한국의 구석기 시대에는 토기가 있었을까?
전통적으로, 한국의 구석기 시대(약 70만 년 전 ~ 기원전 8000년경)에는 토기가 사용되지 않았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이 시기의 사람들은 타제석기를 사용하고,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수렵과 채집을 중심으로 생활했습니다. 토기(흙그릇)는 신석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등장한다고 이해되어 왔습니다. 기원전 약 8000년경, 이른바 ‘신석기 초창기’에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가 나타나며 토기 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구석기 시대 말기 또는 신석기 시대 초기로 보이는 지층에서 출토된 토기 유물이 보고되면서, 학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외적 견해도 존재합니다.
🔎 예외 사례: '고산리식 토기'
제주도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 토기는, 매우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후기 구석기 시대의 세석기(작은 석기)와 함께 출토된 점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를 구석기 시대의 토기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유물이 구석기 시대의 일부인지, 신석기 초기의 일부인지는 여전히 논쟁 중입니다.
🏺 선토기 시대 / 무토기 시대란?
선토기 시대 (先土器時代)
‘선(先)’은 ‘이전’을 뜻하므로, 토기 등장 이전의 시기를 의미합니다.
즉, 토기가 만들어지기 전의 인류 생활 단계를 가리킵니다.
무토기 시대 (無土器時代)
‘무(無)’는 ‘없다’는 뜻으로, 토기가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를 말합니다.
두 용어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모두 일본 구석기 시대를 설명할 때 쓰입니다.
🧶 조몬 시대의 시작
구석기 시대가 끝난 후, 약 1만 년 전부터 시작된 시기는 조몬 시대(縄文時代, じょうもんじだい / 죠몬 지다이)입니다.
이 시기부터 인류는 토기(흙그릇)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일본의 조몬 시대는 신석기 시대로 분류됩니다.
조몬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납니다:
- 정착 생활의 시작
- 불 사용의 보편화
- 조몬토기라 불리는 고리무늬 토기의 제작
- 사냥·채집·어로 활동의 발전
🔔 야요이 시대의 도래
조몬 시대 이후에는 야요이 시대(弥生時代, やよいじだい / 야요이 지다이)가 이어집니다.
🏺 "야요이(弥生)"는 무슨 뜻일까?
"야요이(弥生)"는 원래 지명(地名)입니다. 1906년(메이지 39년), 도쿄 분쿄구 야요이쵸(弥生町)라는 지역에서 고고학자들이 특이한 형태의 토기를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이 토기는 이전 시대인 조몬토기(縄文土器)보다 훨씬 얇고 단순하며 실용적인 모양을 하고 있었죠. 그래서 이 새로운 문화가 발견된 장소의 이름을 따서, 그 시기를 야요이 시대(弥生時代)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이 시기에는 한반도와 중국 등 대륙으로부터 새로운 기술이 전해지며, 일본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벼농사의 도입
- 청동기와 철기 문화의 유입
- 농경 중심의 정착 생활로의 전환
야요이 시대는 일본 고대 문명의 기틀을 형성한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 정리
- 구석기 시대:
타제석기 사용, 이동 생활, 수렵·채집 중심
(→ 토기 없음 → 선토기/무토기 시대) - 조몬 시대:
신석기 시대, 토기 사용, 정착생활의 시작 - 야요이 시대:
청동기·철기 도입, 농경 중심 사회로의 발전
'일본의 역사 | 日本の歴史 | にほんのれきし'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야마토 조정과 대륙 교류: 도래인(도라이진)이 가져온 고대 일본의 ‘문명 점프’ (7) | 2025.03.22 |
---|---|
야마토 조정 이야기 - 천황 이전 대왕이 다스리던 시대, 권력의 증거는 전방후원분 (0) | 2025.03.22 |
히미코는 누구였을까? 역사와 전설 사이의 여왕 이야기 (1) | 2025.03.22 |
🌾 야요이 시대 - 벼농사, 청동기와 철기, 마을과 빈부격차, 신분의 등장 (0) | 2025.03.22 |
일본의 신석기 시대 - 조몬 시대(縄文時代, 조몬 지다이) 줄무늬 토기와 조개무덤, 그리고 흙인형에 깃든 신앙까지 (1) | 2025.03.22 |